컨트롤러 기능은 계수관리기능이다. 오늘날 컨트롤러의 기능은 제조·판매와 같은 경영의 기본적 기능과는 다른 스태프기능을 갖는다. 경영에 있어 여러 가지 계수를 통일적 방법에 의하여 수집·기록하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경영 전체 또는 각 부문활동의 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작성하고, 그러한 활동의 능률을 측정하여 비능률의 원인을 발견하여 당해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필요로 하는 대책을 지적하는 것이 컨트롤러의 직무이다. 컨트롤러부문(controller’s department)은 계수적 경영의 정보센터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스태프로서의 컨트롤러의 기능은 최고경영자에 대한 관계와 그 부문관리자에 대한 관계가 있다. 부문관리자와의 관계는 라인부문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컨트롤러제도는 경영상의 계수(광의의 회계적 계수)를 객관적 입장에서 집중적·종합적으로 취급하는 기능을 내용으로 성립한 것이며, 라인부문은 각기 특정된 본래의 업무에 관련한 계수를 컨트롤러라는 하나의 전문부문에 보고하고 또한 반대로 컨트롤러부문에서 스태프로서의 입장에서 조언·권고하는 수가 많으며, 라인부문의 업적을 평가하는 수도 있다.

컨트롤러의 스태프기능으로 요사이 중요시되는 것은 최고경영자가 행하는 경영의사결정 또는 경영계획을 위한 정보의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컨트롤러는 시초에 최고경영자를 위한 통제기능을 중심으로 하였지만 현단계에서는 의사결정이나 계획기능까지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장기계획의 영역이 확대됨에 다라서 컨트롤부문 외에 계획 담당전문 스태프부문을 설치하자는 구상이 미국에서 현실화되고 있는 경향이다.

잭슨(J. H. Jackson)은 미국의 저명한 25개 회사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① 회계기능, ② 감사기능, ③ 세무기능, ④ 설명기능 등의 4가지가 컨트롤러의 기능이라 하였다. 그런데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컨트롤러의 기능은 관리적 기능이 위조로 되고, 관리조직과 관련해서 본다면 ① 예산기능, ② 회계기능, ③ 감사기능, ④ 통계기능으로 된다.

예산기능은 예판편성·표준원가계산을 통하여 계획업무에 공헌하고, 예산통제로서 설명기능을 갖게 된다. 회계기능은 재무회계·원가계산 등 매일 일어나는 경리업무를 실제로 기록·분류·집계·보고하여 세무와 관리업무에 제공하고, 감사기능은 기업예산의 법률적 기능에 대한 적부를 검토하는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