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장점을 갖는 근대적 의미의 내부견제제도는 부기·회계상의 단계를 넘어 사무절차나 업무관리 또는 경영관리상의 조직성격을 띠고 있다. 근대적 의미에서 내부감사가 내부견제제도와 결합함으로써 그 기능은 충분히 발휘된다. 그 결합의 이유로서 내부견제제도가 갖는 첫째 경제상의 한계, 둘째 기능상의 한계, 셋째 능률상의 한계 등 3가지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첫째의 경제상의 한계는 정교하고 교묘한 내부견제제도를 설정한다 하더라도 시간·경비·인원을 필요로 하므로 기업규모가 어느 정도까지 성숙되지 않으면 그 전면적인 채택이 어렵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경제적인 제약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의 기능상의 한계는 근대적 의미의 내부견제제도를 설정한다손 치더라도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관계직원의 전원이 공모한다든가, 다수의 사람이 분담할 수 없는 업무나 돌발적·예외적인 업무에 대해서는 내부견제제도에 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의 능률상의 한계는 내부견제조직을 너무 강조하면 윤리상·인권상의 문제가 생기고 업무는 관료적·기계적·형식적으로 처리되며, 업무의 진행이 원활치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계가 있으므로 그 병폐를 제거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감사가 필요한 것이다.
귀에 쏙쏙 들어오도록 알려주는 엑셀 수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