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의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 요구되는 목표 달성을 위한 각 요소간의 관계를 규명하여야 한다. 〔그림 1〕은 재고관리에 대한 시스템이며 가장 최근의 재고기록·상황 보고를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시스템의 요소 또는 성분들은 인풋·정보처리·아웃풋 및 통제이며, 이 요소들간의 관계(relationship)는 →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소와 관계가 규명되면 이 시스템은 운영할 수 있는 모든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정보의 인풋은 계획에 의하여 아웃풋으로 처리되기 시작한다. 아웃풋은 시스템이 애초에 설계할 때에 목적한 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재고시스템에서는 적정재고 수준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재고에 대한 계획 있으며, 운송·발주가격 또는 경제적 주문량 같은 운영조직에 관한 자료와 보고서 같은 것이 있게 된다. 이러한 인풋이 특정한 처리과정을 통해 원하는 아웃풋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MIS에서는 또다른 기본요소는 통제라는 요소이다. 시스템의 아웃풋이 이미 정하여진 기준외로 나타났을 경우에는 이 기준과 아웃풋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수정해 줄 적절한 행동이 필요하게 된다. 기준 내에서 시스템의 아웃풋을 안정하게 하는 것은, 첫째 아웃풋을 정확히 측정하여 기준과 비교할 수 있어야 되며, 둘째 만일 피드백조직이 정보의 수정을 위하여 존재한다면 아우트풋을 직접 인풋으로 돌려 보내거나 또는 처리과정의 수정 등 이상의 2가지로 가능하다.
MIS가 기업의 전체 시스템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어떻게 운영되는가 하는 개념은 〔그림 2〕에서 잘 나타나 있다. 여기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보시스템을 위한 정보의 흐름은 전체조직을 위한 계획·통제의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른 4가지 재원, 즉 자금·인적 재원·자재 및 기계설비의 흐름과 통합되고 있다. 어떤 특정한 시스템을 위한 자료와 이것을 위해 계획된 정보는 계획 및 통제라는 기능을 위한 정보를 공급하는 것이 목적인 아웃풋으로 전환된다. 경영 상태에 대한 보고를 통하여 행해지는 통제의 기능은 이와 같이 인풋을 아웃풋으로 전환시킬 때 뿐만 아니라 아웃풋 자체를 통제하게 된다. 물질적 조직(정보조직과 반대되는 의미로서)내에서 만들어진 결과가 기준에 미달될 경우 이것에 대한 정보는 계획분석과 통제그룹에 돌려지고 여기에서 인풋을 변화시킬 것인가 또는 전환처리 과정을 변경시킬 것인가 하는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사결정은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자료은행(資料銀行:data bank)에서 발췌된 자료 또는 결정규칙(decision rule)에 의하여 이루어진다.